[Dispatch=김소정기자] 국내 음악단체가 국회와 정부에 '템퍼링' 근절 정책 지원을 호소했다. 일부 소속사와 아티스트들에게는 여론몰이를 중단을 촉구했다.
한국연예매니지먼트연합, 한국연예제작자협회, 한국음악레이블산업협회, 한국음반산업협회, 한국음악콘텐츠협회 등 5개 단체는 19일 성명문을 발표했다.
단체는 뉴진스와 민희진 전 대표의 분쟁 해결 방식을 문제 삼았다. "민 전 대표의 기자회견 및 여론전, 하니의 국감 출석 및 그룹 독자 활동 등 당사자들이 협의나 법적 절차를 통해 해결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뉴진스의 개별 활동이 업계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법적 판단을 받기도 전에 독자활동을 꾀했다"며 "아티스트의 기자회견과 독자활동은 여론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K-팝 산업을 위기에 빠뜨리는 상황까지 치닫는다"고 우려했다.
단체는 "이 같은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며 "여과되지 않은 여론전의 공통적 이면으로 꼽히는 '템퍼링' 의혹에 대한 대처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템퍼링 시도가 성공할 경우, 연예매니지먼트업은 완전히 무너지게 될 것"이라며 "해외 거대 자본이 개입되어 K-팝 산업이 송두리째 빼앗길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걱정했다.
뉴진스의 최근 행보를 예로 들었다. "뉴진스는 최근 새로운 활동명을 발표하며, 새로운 에이전트가 있다고 발표했다. 계약이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고 일방의 선언으로 파기된다면 K-팝 산업은 존속의 기반을 잃을 것"이라고 말했다.
템퍼링 방지의 핵심은 '전속계약의 성실한 이행'이다. "전속계약을 잠탈하고 아티스트를 빼내어가는 템퍼링 행위의 실체를 규명하고 전속계약의 성실한 이행 분위기를 조성하는 제도적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회와 정부에게도 부탁했다. "템퍼링 관련 분쟁이나 논란이 단순히 산업 이해당사자 간의 갈등이라 생각하지 말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핵심 산업 중 하나인 K-팝 산업의 아주 중대한 리스크임을 인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사진=디스패치DB>